대전 지반침하 안전망 강화 프로젝트

대전, 지반침하 사고 예방에 총력
최근 전국적으로 지반침하 사고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대전시는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2021년부터 2025년 5월까지 대전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건수는 총 32건으로 집계되었으며, 다행히 인명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시는 이러한 사고를 근본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추진 중입니다.
정밀 탐사와 관로 정비로 안전 강화
단기 대책으로, 대전시는 2025년 12월까지 총 14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시 전역의 하수관로 578km 구간과 차량 통행량이 많은 지하차도 28km 구간에 대해 지표투과레이더(GPR) 정밀 탐사를 실시합니다. 이번 조치는 법적 최소 요건을 뛰어넘는 선제적 조치로, 공동(空洞) 탐지와 사고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2025년 추경 예산 2억 원을 반영해 인명 피해 우려 지역과 대규모 공사장 주변에 대해 수시 탐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 구간은 긴급 상황 발생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관리할 계획입니다.
대규모 공사 시 GPR 탐사 의무화
대전시는 대규모 굴착공사 인허가 시 GPR 탐사를 의무화하는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공사 착공 전, 시공 중, 준공 전, 우기 전후 등 연 2회 이상 탐사를 조건으로 하여 민간사업자의 책임을 강화하는 조치입니다. 이는 서울과 부산 등 주요 도시에서 발생한 대형 침하사고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 제도적 사전 대응을 정착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입니다.
장기적 관점에서 노후 관로 정비 추진
장기적으로는 2026년부터 2,043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노후 상·하수관로 298km를 순차적으로 정비할 계획입니다. 이 사업은 지반침하의 주요 원인인 노후 관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신속한 사고 대응 체계 구축
만일의 사고에 대비해 대전시는 지반침하 원인을 신속하게 분석하고 복구할 수 있도록 인력풀 형태의 '지반침하 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대응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보이지 않는 위험을 사전에 탐지하고 원인을 제거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방침입니다.
대전시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시민 안전을 한층 강화하고, 지반침하 사고로부터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