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서 펼쳐진 AI와 창업의 미래

Last Updated :
대전서 펼쳐진 AI와 창업의 미래

대전창업포럼, AI와 창업의 미래를 논하다

2025년 7월 11일, 대전컨벤션센터 2층 그랜드볼룸에서는 대전창업포럼이 'AI와 창업의 미래'를 주제로 뜻깊은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첨단 기술을 단순한 기술 분석에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시각에서 조망하며, AI가 일상화되는 시대에 맞춰 창업과 기술의 융합 방향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대전창업포럼과 테크비즈코리아의 협력 확대

박대희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대표이사는 인사말을 통해 대전창업포럼이 현재 98회를 맞이했으며, 그간 1,200여 개의 창업을 지원하며 지역 창업 생태계 구축에 기여해왔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테크비즈코리아와의 협력을 통해 프로그램을 확장, 더욱 폭넓은 창업 지원과 기술 융합의 장을 마련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박 대표는 앞으로도 대전 지역 창업 생태계 활성화에 힘쓸 것임을 다짐하며 참석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응원을 요청했다.

융합과 통섭의 시대, 기술과 창업의 만남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이은학 원장은 환영사에서 오늘날은 다양한 분야의 융합과 통섭이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는 시대임을 강조하며, 테크비즈코리아와 함께한 이번 행사의 의미를 높이 평가했다. 이어 3명의 전문가가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바라본 최신 과학기술 트렌드와 AI 활용 사례를 소개했다.

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 혁신의 생태계 구축

한국과학기술지주 최치호 대표는 기술 혁신의 중요성을 역사적 사례와 함께 설명했다. 그는 크로마뇽인이 바늘이라는 기술을 통해 빙하기를 견딜 수 있었던 점을 예로 들며, 기술 자체보다 이를 수용하고 응용하는 사회적·문화적 역량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혁신의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단일 주체가 아닌 지역사회 내 다양한 주체들의 협업과 네트워크 구축이 필수적임을 역설했다.

최 대표는 대전이 혁신 선도 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연구실에 머무는 기술을 지역사회가 적극 활용하고, 공공 연구기관이 기업가적 역할을 수행하며, 국가가 이를 지원하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30년 전 대지진으로 재건된 일본 고베시의 사례를 들어, 연구자 정주 여건을 갖춘 유기적 도시 커뮤니티가 혁신을 촉진하는 모델임을 소개했다.

음악 산업에서 본 기술의 진화

페퍼톤스의 이장원은 음악 산업을 중심으로 기술 발전이 가져온 변화를 설명했다. 그는 르네상스 시대의 류트에서부터 앰프와 전자 기타의 등장으로 대규모 콘서트가 가능해진 현대 음악까지, 기술이 음악 표현의 영역을 확장시킨 과정을 개괄했다. 특히 AI가 음악 제작에 도입되면서 고인이 된 가수가 최신 유행곡을 부르는 등 상상 속의 음악적 실현이 현실화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AI와 인간 창의성, 바둑에서 창업까지

이세돌 특임교수는 알파고와의 대국을 통해 본 AI 발전과 인간의 창의성에 대해 강연했다. 그는 "이세돌이 패배한 것이지 인간이 패배한 것은 아니다"라는 명언을 상기시키며, AI가 인간의 기보를 넘어 자기 학습을 통해 빠르게 진화하는 모습을 소개했다. AI는 바둑의 고정관념을 깨고 새로운 수를 제시하며 인간에게 영감을 주고 창의성을 확장시키는 도구가 되고 있다.

한편 AI의 창의 영역 진출로 인간의 역할이 위협받는 현실에서, 이 교수는 변화가 위기이자 기회임을 강조하며, 단순 취업이 아닌 체계적 창업 준비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미래를 향한 대전의 도전

이번 행사에는 21개 기관이 참여해 135건의 신기술 전시와 기술 상담도 함께 진행되었다. 대전은 과학기술 선도 도시로서 AI와 창업의 융합을 통해 미래 혁신을 이끌어갈 준비를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는 자리였다.

행사 장소

  • 대전컨벤션센터: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107
  •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대전광역시 유성구 궁동로2번길 81, 대전스타트업파크 본부 4층
대전서 펼쳐진 AI와 창업의 미래
대전서 펼쳐진 AI와 창업의 미래
대전서 펼쳐진 AI와 창업의 미래 | 대전진 : https://daejeonzine.com/4314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대전진 © daejeon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