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과 뇌과학, 대전경제포럼에서 미래를 논하다

Last Updated :
인공지능과 뇌과학, 대전경제포럼에서 미래를 논하다

대전경제포럼, 인공지능 시대 미래 기회 모색

2025년 5월 8일 오전 7시, 대전 유성구 호텔 ICC 1층 크리스탈볼룸에서는 제249차 대전경제포럼 세미나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카이스트 뇌인지과학과 정재승 교수를 초청해 '인공지능 시대, 뇌과학으로 미래의 기회를 성찰하다'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른 아침임에도 불구하고 세미나장에는 지역 경제인과 전문가들이 모여 뜨거운 열기를 보였습니다.

한국수자원공사, 2027년 국제대댐회 대전 개최 준비 발표

세미나 시작 전, 한국수자원공사의 이용수 연구관리부장이 '2027년 국제대댐회 연차회의 성공개최를 위한 대전지역 상생협력 방안 제안'을 주제로 약 10분간 기관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국제대댐회(ICOLD)는 100여 개국이 참여하는 수자원 분야 국제기구로, 2027년 대전에서 연차회의가 개최될 예정입니다. 1,500명 이상의 참가자가 예상되며, 이는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지역사회와 협력해 대전의 매력을 세계에 알릴 기회를 만들자는 제안을 내놓았습니다.

정재승 교수, AI 발전과 뇌과학의 미래 전망

정재승 교수는 AI가 이제 전문가만의 기술이 아닌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존재가 되었다고 강조했습니다.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 속도는 현업 종사자들조차 위기감을 느낄 정도이며, 교수 본인도 AI 관련 논문 작성 중 기술 변화로 인해 작업을 중단한 경험을 소개했습니다.

2005년 레이 커즈와일의 '특이점이 온다'에서 예측한 2045년 AI가 인간 지능을 뛰어넘는다는 전망이 2025년 현재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는 점도 언급했습니다. AI는 방대한 데이터와 머신러닝을 통해 계산 속도가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교수는 AI가 미국 월마트 주차장 차량 수를 분석해 매출을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식 시장 흐름을 예측해 소수 인원이 억대 수익을 올린 사례를 소개하며 AI 이해가 성공 기회 발굴에 중요함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2024년 노벨화학상 수상자가 AI 전문가였다는 점을 들며, AI가 전통 연구 분야를 뛰어넘는 성과를 내고 있음을 설명했습니다. 미국 MIT는 모든 신입생에게 AI 교육을 의무화하는 등 AI의 중요성을 반영한 교육 개편을 진행 중입니다.

정 교수는 앞으로 AI를 잘 활용하는 사람이 그렇지 못한 사람을 압도하는 시대가 올 것이며, AI가 인간 뇌처럼 맥락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기술로 발전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뇌와 로봇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기술도 등장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대전상공회의소, AI 교육으로 지역 경제인 역량 강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대전상공회의소는 AI 관련 교육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4월에는 AI 주제 교육을 실시했으며, 홈페이지를 통해 다양한 기관의 AI 교육 정보를 제공해 지역 경제인들의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역사회가 AI 시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지속할 계획입니다.

행사 장소 안내

이번 세미나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123번길 55에 위치한 호텔 ICC에서 진행되었습니다. 호텔 ICC는 대전의 대표적인 컨벤션 시설로, 다양한 경제 및 학술 행사가 열리는 장소입니다.

인공지능과 뇌과학, 대전경제포럼에서 미래를 논하다
인공지능과 뇌과학, 대전경제포럼에서 미래를 논하다
인공지능과 뇌과학, 대전경제포럼에서 미래를 논하다 | 대전진 : https://daejeonzine.com/4123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대전진 © daejeon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