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응노 미술관과 대전형무소, 예술과 역사의 현장
대전 둔산대공원, 반 고흐 전시로 활기
대전 둔산대공원 내 시립미술관에서는 2025년 6월 22일까지 국내 유일의 ‘불멸의 화가 반 고흐’ 회고전이 열리고 있습니다. 주말이면 전국 각지에서 모인 관람객들로 공원은 활기가 넘칩니다.
이응노 미술관의 역사와 건축
2007년 5월 개관한 이응노 미술관은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대로 157에 위치해 있습니다. 개관전 고암, 예술의 숲을 거닐다 파리에서 대전으로를 시작으로, 프랑스 출신 세계적 건축가 로랑 보두엥이 고암 이응노 화백의 문자추상 작품 ‘수(壽)’를 건축적으로 해석해 상징화한 독특한 건축미를 자랑합니다.
2012년에는 재단법인 대전고암미술문화재단이 설립되어 미술관 운영에 힘쓰고 있습니다.
이응노 화백의 옥중 예술과 삶
1967년 동백림 사건 연루로 한국에 송환되어 대전교도소 등에서 1년 8개월간 수감된 이응노 화백은, 그 기간 동안 도시락통, 부채, 밥풀, 간장 등 제한된 재료로 300여 점의 옥중 작품을 제작했습니다. 1968년작 ‘구성’에는 당시 대전교도소에서 작업했다는 서명이 남아 있습니다.
유럽 미술계는 그의 석방을 위해 탄원서를 제출하는 등 구명운동을 벌였고, 1969년 출소 후 프랑스로 돌아가 활발한 예술 활동을 이어갔습니다.
2020년에는 1965년 제작한 ‘군상’ 작품을 미술관 앞 잔디밭에 확대 복제해 설치했습니다.
이응노 미술관의 전시와 관람 안내
이응노 미술관은 국내외 유명 작가들의 전시를 비교적 저렴한 관람료로 선보이며,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은 ‘문화가 있는 날’로 무료 관람이 가능합니다. 일상 속에서 예술을 부담 없이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옛 대전형무소 망루와 기억의 터
대전 중구 중촌동에 위치한 옛 대전형무소는 1919년 일제에 의해 개소되어 1984년 대전 유성구 대정동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운영되었습니다. 3.1운동 이후 수감자가 급증하자 시설 확충을 위해 설립되었으며, 1923년 대전 형무소, 1961년 대전 교도소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현재는 대부분 철거되고 일부 부지에 아파트가 들어섰으나, ‘대전형무소 테마파크’라는 명칭으로 지도에 표시되기도 합니다. 방문 시 대전 중구 선병원 또는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를 참고하면 됩니다.
반공애국지사영령추모탑과 역사적 의미
선병원 정류장 인근에는 1986년 6.25 전쟁 36주년을 맞아 세워진 반공애국지사영령추모탑이 있습니다. 이 탑은 1950년 9월 공산괴뢰의 만행으로 희생된 2,857명의 반공 애국동포 중 1,300위가 잠든 현장을 기립니다.
대전형무소 우물과 평화의 나무
형무소 내 4개의 우물 중 한 곳은 6.25 전쟁 당시 북한군에 의해 수감자 학살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취사장 우물에서는 171구의 시신이 발견되었습니다. 현재 보존된 우물은 취사실에서 약 10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합니다.
또한, 교도소 이전 시 연못가에서 옮겨 심은 왕버들 나무는 75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되며, 평화의 상징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대전형무소 담장과 역사 교육의 장
2018년 관광자원화 조성공사 중 발견된 담장 일부가 보존되어 있으며, 다양한 사진 자료와 함께 대전형무소의 역사를 되새길 수 있습니다. 이곳은 이응노 화백이 1967년부터 1년 넘게 수감된 장소로, 그의 아픈 사연과 대전과의 인연을 보여줍니다.
기억의 터와 도산 안창호 선생의 옥중 서신
‘기억의 터’에서는 도산 안창호 선생이 1933년 6월 1일 대전형무소 수감 중 아내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가족에 대한 애틋한 마음과 인생의 진리인 ‘사랑’을 강조한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문화재로서의 옛 대전형무소 망루
한국자유총연맹 자유회관 정문 옆에 위치한 옛 대전형무소 망루는 문화재자료 제47호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높이 7.85미터, 건축면적 30.5제곱미터의 붉은 벽돌 원통형 건축물로, 철재 계단과 환기창이 특징입니다.
역사와 예술이 공존하는 공간
옛 대전형무소와 기억의 터는 단순한 과거의 장소를 넘어, 현재와 미래를 비추는 역사 교육의 장입니다. 억압과 고난 속에서도 꺾이지 않은 양심수와 이응노 화백 같은 예술가의 혼을 되새기게 하는 의미 깊은 공간입니다.
